방송국 엔지니어(방송기술직) 업무에 관하여 궁금하신 분들이 있는 것 같아서 몇자 올립니다.

 

1. 취업

전기,전자,통신학과 전공자가 대부분이지만, 비전공자도 들어옵니다, 요즘은 자격제한이 없으니 시험만 잘보면 되겠죠, 면접이 남아 있군요, 아무래도…

 

2. 보수

대부분 공채로 모집하는데, 아나운서,기자,PD,카메라,행정,기술직(엔지니어) 모두 직종에 상관없이 일반직일 경우 같은 직급으로 시작하며 봉급도 같습니다, 보통 대졸사원으로 시작합니다.

 

3. 근무형태

방송은 24시간 연중무효로 제작송출하기 때문에, 야간 교대근무를 하는 경우도 많고, 프로그램 제작시간에 맞춰서 주5일 시차제 근무를 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또한 기술행정업무를 맡게되는 경우도 있는데 통상근무를 하게되죠.

 

4. 하는 일

엔지니어의 업무는 여러갈래로 구분됩니다, 마치 논산훈련소에 입소하여 각자 다른길로 찢어지는 경우와 비슷하다고 볼수도 있지만, 좀 자유로운 편이구요(바꿀수 있음), 그때그때 인원필요에 따라 적시적소에 배치된다고나 할까요.

크게볼때는 제작과 송출업무로 나눌수 있습니다.

 

5. 제작업무(TV 기준)

방송국 스튜디오 조정실에서 프로그램 제작스텝으로 참여하는 경우입니다.

전기적으로 강전,약전으로 구분할때 약전에 해당합니다, 송출은 강전입니다(고압 전기를 다루니까요)

제작PD의 콜에 따라 일사분란하게 자기의 업무에 충실해야 합니다.

A씨는 PD옆자리에서 영상변경, B씨는 영상조정, C씨는 MC 마이크나 음악등 오디오를 모두 관리조정하고, D씨는 VCR 녹화 및 Play를 담당하게 됩니다.

물론 제작이외에 모든 방송장비를 관리하게 됩니다.

조명담당은 쑈나 드라마제작에 있어서 아주 중요한 업무이기도 합니다.

카메라 관리는 엔지니어가 합니다, 카메라맨은 다른 직종으로 분류되어 있습니다(엔지니어가 아닙니다)

또한 부서별로 업무가 많이 다릅니다, 중계부서도 있고 라디오부서도 있고 TV 제작부서도 있고 보도도 있고 등등...

 

 

6. 송출업무

송신소, 중계소등을 말합니다, 지역마다 커다란 안테나 철탑이 보이시죠?

관악산 송신소를 필두로 전국 지역 송중계소를 거쳐 시청자께 중계해 드립니다.

요즘은 대부분 무인화가 되었기 때문에 주요한 사이트가 아니면 상주하지 않고 원격으로 운용합니다.

위에서 언급한 제작이나 송출 모두 엔지니어가 맡게 되는데, 취업후 어떤분야에 종사할 것인지는 그때그때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젊은직원들은 제작업무에, 시니어들은 송출업무를 하게 됩니다.

 

7. 제작분야 업무분류(TV 기준)

 

 1) 기술감독

일반적으로 고참선배가 맡게 되는데 카메라, VCR 등 여러가지 소스들 중에서 필요한 소스를 선택함으로서 화면변경이 이뤄지게 됩니다.

드라마를 보면 PD가 컷트 컷트 하잖아요, 그것이 MC샷에서 다른 영상으로, 영상에서 1번 카메라로 컷트, 컷트… 바꾸라는 콜이거든요.

 2) 영상

카메라를 위시해 모든 영상장비를 관리하며 세팅하고 화질을 조정하며 조명도 알아야 합니다.

 3) 음향

 모든 마이크와 오디오장비를 관리하며 제작시 필요한 마이크를 올려주고 내려주고, 소스를 올려주고 영상에 맞춰서 따라가야 합니다.

 참고로 영상과 음향은 별도의 시스템라인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영상따로 음향따로 움직이면 결과물이 이상하게 되겠죠(방송사고)

 4) 녹화

VCR 담당이라고 할수있죠.

그때그때 필요한 테이프를 Play 해주고, 녹화시 최종 완성본을 만들어 주조정실에 전달하게 됩니다.

 5) 조명

 잘 아시다시피 스튜디오에서 하나의 프로그램만 제작하는 것이 아니라 세트가 수시로 바뀌기 때문에 그때그때 조명위치를 바꿔주는 작업을 해야 합니다.

 

방송제작에 있어서 순간순간 바뀌거나 변경사항이 있을때 PD콜을 잘 들어야 하기 때문에 커뮤니케이션 전달이 매우 중요합니다, 이를 인터컴이라 부릅니다, 모든스텝의 위치가 각자 떨어져 있기 때문에 의사전달이 잘되어야 합니다.

영상이든 음향이든 녹화든, 기술감독이든 고정적으로 한가지만 하는 것이 아니라 몇년해보고 다른 업무로 변경하기도 합니다.

 

대략적으로 말씀드렸는데, 사실상 방송국에 있어서 PD와 기자, 아나운서가 최고라고 하지만, 프로그램이 완성되고 송출되는 단계에서 엔지니어의 역할이 절대적이고 최전선이라 할수 있습니다.

방송시스템은 엔지니어의 손에 의해서 조작되는 기계적인 작업이기 때문입니다.

PD,기자를 소프트웨어라 칭한다면 엔지니어는 하드웨어라 부를수 있을 겁니다.

+ Recent posts

주소바뀌었어요 ^^

http://danmuji1box.tistory.com --> http://danmuji2box.tistory.com

자주 놀러오실꺼죠? 아래 즐겨찾기 추가 부탁드립니다 ^^





자주 놀러오실꺼죠? 아래 즐겨찾기 추가 부탁드립니다 ^^





데스크탑 ==> http://danmuji2box.tistory.com/category/LOL팁공유

  

Wooxy 설치법 은 http://danmuji2box.tistory.com/563

 

적용법 2 In Wooxy, click “Skins” > “Import skin” > “Add pack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