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추납
소득이 없어 보험료 납부 예외를 신청했다가, 나중에 여유가 생겼을 때 한꺼번에 안 낸 돈을 내는 경우
국민연금이 납부한 돈 대비 받을 수 있는 돈이 줄어들고 있으므로, 역시 하루라도 빨리하는 것이 이득
2. 반납
직장퇴직 시 일시금을 받아갔던 연금을 지난 기간만큼 이자를 붙여서 다시 반납하는 경우
(단, 퇴직 시 일시금 방식은 99년 이전까지만 시행)
늦게 할 수록 이자가 늘어나므로 하루라도 빨리 하는 게 이득
2014년 8만 건 신청, 2015년 10만 건 신청
3. 수급연기
수급연령인 61세가 되어도 연금을 받지 않고, 유예하는 것
연금 1년 이자율이 7.2%
2014년 8천명 신청, 2015년 2만 여명 신청
예시)
국민연금에 15년 3개월 가입하고 작년 말 퇴직한 박모(61)씨
올 5월부터 받을 예상 연금액이 월 81만5000원
국민연금 상담원은 "그동안 소득이 없다고 '납부예외' 신청을 하고 안 냈던 돈(보험료)을
지금이라도 소득(월 100만원)을 신고해 내면 예상 연금액이 월 90만1000원으로 8만6000원이 올라간다"고 말했다.
그는 퇴직 후 새 직장을 얻기까지 6년간 소득이 없다며 보험료를 내지 않았었다.
박씨는 "6년치 보험료 695만원을 한꺼번에 더 내면 한 해 103만원을 연금액으로 더 받게 된다" 월 8만 5천원 상승
직장에서 정년 퇴직한 김모(58)씨
17년간 직장에서 연금에 가입하고 현재 무직인 그가 탈 예상연금액은 월 70만원
상담원은 "예전에 퇴직하면서 일시금으로 받은 연금보험금(정기예금 이자를 붙인 422만원)을 반납하라"고 권했다.
김씨는 1993년 퇴직하면서 5년간 냈던 연금 보험료(140만원)를 되돌려 받았었다.
이 돈을 반납하면 가입 기간이 22년으로 늘어 연금액이 월 70만원에서 월 89만원으로 늘어난다.
'생활공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카카오톡 링크주소 보낼때 미리보기 안나오게 하기 (0) | 2016.04.23 |
---|---|
미세먼지 1시간 노출, 담배연기 84분 흡입량과 동일 (0) | 2016.04.23 |
최근 서울지역 아파트 5년간 실매매가(호갱어플참고) (0) | 2016.04.21 |
한눈에 보는 3사 멤버쉽 할인 혜택 정리 (0) | 2016.04.21 |
항공권 싸게 사는 법 (0) | 2016.04.14 |
계약전력 변경으로 전기요금 낮추기 (0) | 2016.04.11 |
소음에 민감한 분들 신축 빌라 (다세대 주택) 고를 때 참고할 사항 (1) | 2016.04.09 |
전자레인지 500% 활용법 (0) | 2016.04.09 |
압박 면접 사례 리스트 (0) | 2016.04.03 |
정수기 전기요금 (0) | 2016.03.30 |